9.3.2 설정 절차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 화면에서 [Expand Filesystem] 항목을 이용한다.
그림 9‑3 “raspi-config” 명령에서 파일시스템 확장 설정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Enter] 버튼을 누르면 세부항목을 선택하는 다음 화면이 시작된다.
9.3.2 설정 절차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 화면에서 [Expand Filesystem] 항목을 이용한다.
그림 9‑3 “raspi-config” 명령에서 파일시스템 확장 설정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Enter] 버튼을 누르면 세부항목을 선택하는 다음 화면이 시작된다.
9.3 파일시스템 확장 설정
9.3.1 의미
SD card의 공간 중에서 아직 시스템이 사용하지 않는 공간이 있는 경우는 이 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SD card의 storage는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서 다른 상태로 처리된다. 운영체제 설치 image를 SD card에 그대로 옮긴 경우에는 해당 운영체제가 차지하는 partition에 해당하는 공간만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고, 나머지 공간은 아직 사용하지 않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시스템에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공간을 사용하는 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다. utility를 이용해서 시스템을 설치할 때는 SD card의 전체 공간이 이미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어서 특별한 확장 작업이 필요 없다.
.2.2 Desktop window를 이용한 설정 방법
Desktop window에서 시스템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Menu à Preferences à Raspberry Pi Configuration를 이용한다.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9.2.1 “raspi-config” 명령을 이용한 설정 방법
시스템 booting에 필요한 시스템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명령 형식]
raspi-config
[명령 개요]
■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여러 가지 항목을 설정하는 명령이다.
9.1.2 시스템 설정 대상 항목
■ 파일시스템 확장
SD card에서 아직 시스템이 사용하지 않는 공간이 있으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해준다.
■ default user “pi’에 대한 사용자 암호 변경
시스템이 설치될 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pi”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변경할 수 있다.
9.1.1 시스템 설정의 의미
시스템이 처음 작동할 때, 어떤 형태로 시작하고, 특정 내용을 어떤 모양으로 표시하고, 여러 가지 기능 중에서 어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시작과 동시에 어떤 작업을 시작할 것인지 등 시스템의 여러 가지 작동 방식에 대해서 운영자가 사전에 정할 수 있다. 이렇게 시스템이 처음 시작할 때 해당 시스템의 여러 가지 항목에 대해서 정의하는 것을 시스템 설정이라고 한다.
Chapter 9 Raspberry Pi 시스템 설정
Chapter 주요 내용
여기서는 Raspberry Pi에 Raspbian 운영체제가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시스템이 처음 작동할 때 시스템이 어떤 형태로 작동할 지를 결정하는 여러 설정 항목에 대해서 운영자가 어떻게 설정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다음과 같은 항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시스템 설정 방법
■ 파일시스템 확장
■ default user “pi”의 사용자 암호 변경
■ booting 시작화면 설정
■ Internationalization Options 설정
■ 성능 항목 설정
■ camera 및 오디오 장치 설정
■ network 관련 설정
■ 주변기기 interface 장치 설정
8.2.2 기본 Shell 프로그램의 지정
Linux에서는 여러 가지의 Shell 프로그램이 존재하며, 배포판에 따라서 다른 Shell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른 Shell 프로그램이 있으면, 그 Shell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다.
Linux에서 시스템에 현재 설치되어 있는 Shell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etc/shells” 파일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다음과 같이 해당 정보를 확인해보면 여러 가지의 Shell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시스템에 설치된 여러 개의 Shell 프로그램 중에서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Shell 프로그램이 지정된다.
8.2 Shell 프로그램
8.2.1 Shell 과 BASH (Bourne Again Shell)
우리가 Terminal 프로그램에서 어떤 명령을 실행하면, 그 명령은 내부적으로 Shell이라는 프로그램이 받아서 명령을 해석하고, 시스템 kernel에게 처리를 지시하고, 처리가 완료되면 kernel에게서 그 결과를 받아서 다시 Terminal 프로그램으로 되돌려 준다. Shell은 Terminal 프로그램과 시스템 kernel 사이에 있으면서 Terminal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모든 요청을 대신 처리해 주는 역할을 하므로, Terminal 프로그램은 시스템 kernel에 대해서 전혀 알 필요가 없다. 이렇게 조개 껍질이 내용물을 둘러싸고 있는 것처럼 시스템 kernel을 둘러싸고 있으면서 kernel로 부터 서비스를 받을 필요가 있는 외부의 terminal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에서 Shell이라고 한다.
8.1.3 Terminal 화면에서의 작업
다음은 Terminal 화면에서 현재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히 확인해 보자. Linux에서 현재의 directory 위치를 알고 싶을 때 “pwd” 명령을 사용한다.
pi@raspberrypi ~ $ pwd
/home/pi
위의 사례에서는 “pwd” 명령을 실행하면 “/home/pi”가 현재의 directory 위치라는 것을 알려준다. 화면에서는 “~”라고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는 그것이 “/home/pi”를 의미하는 것이다. 처음 home directory에 지정된 현재 directory 위치는 사용자가 작업하는 위치를 다른 directory로 이동하면 같이 변경되게 된다. 그러면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도 그에 맞추어 변경된다.